카테고리 없음

유럽 임상평가를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¾ 2021. 8. 24. 13:27

유럽의 규정(MDR/IVDR)이 강화되면서 임상평가에 대한 심사의 난이도가 상승했으며 규정의 적용에 대해 가이던스 시절 하고는 다르게 명확하게 규정을 적용하여 보완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임을 이미 많은 업체들이 겪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임상평가 시 문헌 검색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이며 그 방법론은 체계적 문헌 고찰에 의해 수행하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임상 평가의 시작 

 

임상 데이터의 출처로 과학적 문헌에 대한 요구사항은 MDR 규정 제2조 48항에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 해당 기기의 임상시험들

 - 해당 기기와 동등성이 입증될 수 있는 기기에 대한 과학적 문헌에 보고된 임상시험들 또는 기타 연구

 - 해당 기기 또는 해당 기기와의 동등성이 입증될 수 있는 기기의 기타 임상 경험에 대한 동료검토 과학 문헌에 발표된 보고서

 - 시판 후 감시, 특히 시판 후 임상 추적에서 수집된 임상적 관련 정보

 

이 규정에서 확인한 봐와 같이 임상 평가의 시작을 위한 과학적 문헌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의 임상적, 생물학적,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여 동등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기기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임상평가 단계

 

동등한 기기가 설정된다면, 다음 단계를 MEDDEV 2.7/1 rev4의 설명에 따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 문헌 고찰에 대한 방법론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발간된 MDCG 지침 문서에도 이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기 때문에 MEDDEV 2.7/1 rev4을 계속해서 참고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1단계

검색에 필요한 질문과 입력할 검색어를 선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검색어의 입력 PICO 방법에 대한 부분을 예로 들고 있습니다.(P-Population, I-Intervention, C-Comparator, O-Outcome)

검색어에 대해서는 기기의 의도된 목적, 의도된 성능 및 임상적 이점, 위험관리의 결과로부터 추출해 내야 합니다. 

 

2단계

검색 출처, 검색 범위, 정확한 검색 용어, 검색 제한, 포함/배제 기준, 평가 계획 및 분석 계획을 포함한 검색 실행 시 필요한 자세한 프로토콜의 작성을 요구합니다.

 

3단계

검색 방법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관련성을 평가합니다. 평가에서는 문헌을 통해 얻은 연구의 질을 고려하여 과학적 타당성이 결여된 연구의 문헌은 최종 선정에서 제외합니다. 

 

4단계

포함 기준에 맞는 데이터를 해당 기기에 대한 관련성을 위해 분석해야 합니다. 분석은 관련 바람직한 데이터와 바람직하지 않은 데이터 모두에 대해 객관적이고 비판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임상 데이터와의 간극이 발생하면 이러한 간극을 메우기 위해 임상조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과학적 문헌 검토에서의 흔한 보완

 

가장 많은 나오는 보완 중 하나가 문헌 검색 방법론의 부재입니다. 

선택한 키워드, 포함/배제 기준 및 적합성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문헌 검색 프로토콜이 없다면 문헌 검색의 재현성이 결여되어 심사자의 평가가 어려워 지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잦은 보완은 평가 대상 기기와 동등한 것으로 입증되지 않은 기기의 문헌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MEDDEV 지침과 MDR에는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 동등한 기기의 문헌만을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다른 기기를 사용한 문헌을 CER에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임상 증거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보완 사항을 언급한다면 PMS 활동으로 수집된 자료들을 간과한다는 것입니다. 

제조 업체는 자사의 기기뿐만 아니라 경쟁사 기기에서도 PMS 자료를 사전에 수집해야 합니다. 또는 제조 업체는 추가 문헌을 검색하거나 MAUDE와 같은 사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